파일 시스템 데이타 실시간 동기화 기술
RSync (알싱크)와 LSyncd (엘싱크)는 둘 다 파일 동기화 도구이지만, 동작 방식과 목적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RSync는 명령 기반의 일회성 동기화 도구이고, LSyncd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RSync를 자동 실행하는 실시간 동기화 도구입니다.
RSync (Remote Sync)
정의:
RSync는 로컬 또는 원격 시스템 간에 파일과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명령줄 유틸리티입니다. "델타 인코딩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변경된 파일의 전체가 아닌, 변경된 부분(델타)만 전송하여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특징:
명령 기반/일회성: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실행해야 동기화가 이루어집니다.
rsync -avz source/ destination/
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효율적인 전송: 파일의 변경된 블록만 전송하므로, 대규모 파일이나 많은 파일 중 일부만 변경되었을 때 매우 효율적입니다.
다양한 옵션: 파일 권한, 소유권, 시간 스탬프 유지, 링크 처리, 제외 목록 지정 등 매우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Pull/Push 가능: 원격 서버에서 파일을 가져오거나(pull), 원격 서버로 파일을 보내는(push) 것이 모두 가능합니다.
스케줄링 필요: 실시간 동기화를 원한다면 Cron 같은 스케줄러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RSync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사용 예시:
백업 스크립트에서 매일 밤 특정 디렉터리를 백업 서버로 동기화.
개발자가 로컬 코드 베이스를 원격 개발 서버와 동기화.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다른 서버로 한 번에 복사 또는 업데이트.
LSyncd (Live Syncing Daemon)
정의:
LSyncd는 로컬 파일 시스템의 변경 사항(생성, 수정, 삭제)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해당 변경 사항을 즉시 원격 서버로 RSync를 사용하여 동기화하는 데몬(백그라운드 프로세스)입니다. Inotify(Linux 커널 기능)와 같은 파일 시스템 이벤트를 활용합니다.
주요 특징:
이벤트 기반/실시간: 파일 시스템 이벤트(예: 파일 생성, 수정, 삭제)를 즉시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기화를 시작합니다.
자동화: 한 번 설정하면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며, 수동으로 RSync 명령어를 실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RSync 활용: LSyncd 자체는 동기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내부적으로 RSync를 호출하여 실제 파일 전송을 수행합니다.
설정 파일 기반: YAML 또는 Lua 스크립트로 작성된 설정 파일을 통해 감시할 디렉터리, 대상 서버, RSync 옵션 등을 상세하게 정의합니다.
장애 복구: 동기화 실패 시 재시도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사용 예시:
웹 개발 환경에서 로컬에서 코드를 수정하면 즉시 개발/스테이징 서버로 자동 배포.
고가용성 환경에서 마스터 서버의 데이터를 슬레이브 서버로 실시간 복제.
로그 파일이나 데이터 디렉터리를 실시간으로 백업 서버로 전송.
주요 차이점 요약
특징 | RSync (알싱크) | LSyncd (엘싱크) |
---|---|---|
동작 방식 | 명령 기반 (수동 실행 또는 스케줄링) | 이벤트 기반 (파일 변경 감지 후 자동 실행) |
실시간성 | 없음 (주기적 실행 필요) | 실시간 동기화 (거의 즉시) |
목적 | 효율적인 파일 복사/동기화 | 파일 시스템 변경 사항의 자동/실시간 복제 |
내부 작동 | 자체 파일 전송 알고리즘 | RSync 유틸리티를 호출하여 전송 |
설정 | 명령줄 인자 | 설정 파일 (YAML 또는 Lua) |
리소스 사용 | 실행 시에만 사용 | 백그라운드 데몬으로 상시 실행 (Inotify 사용) |
적합한 상황 | 대규모 백업, 초기 동기화, 주기적 작업 | 실시간 데이터 복제, 자동 배포, 지속적인 미러링 |
결론적으로, RSync는 동기화의 '엔진'이자 '알고리즘'이고, LSyncd는 RSync를 '자동으로 운전'하여 실시간으로 변화를 감지하고 반영하는 '자동화 시스템'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두 도구는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Comments
Jordan Singer
2d2 replies
Santiago Roberts
4d